Lyva의 인생기록소

2021 한국 부자보고서 요약 정리

by Karice
반응형

내용 정리

요약

1. 한국의 부자수는 작년(2020)에 비해 10%정도 늘었다.

 

2. 부동산 자산 60% + 금융자산 36%정도 비율임 / 금융자산 비중 지속적으로 감소

3. 총 자산 중 비중이 큰 자산은 거주주택으로 30% 차지

4. 중요 내용 요약

 

 

부자들의 성향

  • 금융자산에 대해 공격 지향적 투자 성향이 강함
  • 주로 금융자산 - 펀드/ 주식 비중을 늘렸다.
  • 돈이 많을 수록 투자하는 종목수가 많아짐

 

부자들의 향후 투자 전략

  • 많은 사람들이 주식투자를 늘리겠다고 함
  • 암호화폐는 부정적 -> 투자 손실 위험이 큼
  • 해외자산 투자에 적극적임
  • 최근 투자처로 관심 높은 시장은 '미술품 시장'이다.

 

부에대한 정보

총자산이 100억원은 되야 부자라고 생각한다.( 부동산자산은 50억원 이상 + 금융자산은 30억원)

최소 연소득 3억원은 되야 함

가장 기여도가 큰 부의 원천은 '사업소득'이다. -> 사업을 해야 부자가 됨!!

종잣돈을 최소 5억원으로 본다.

 

부의 성장 동력

1. 목표금액 설정 (보통 111억원)

2. 부채 사용 (레버리지) - 자산이 많을 수록 사용하는 부채 규모도 크다.

3. 저축여력 - 연 6200만원 수준

4. 자산분배 전략

 

부자의 자산외 기준

1순위는 가족관계이다.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회적 지위는 '직업', 사회적 관계는 '비즈니스 모임'이다

부자가 원하는 부자상은 '돈보다 중요한 가치가 있는 부자'이다.

 

준부자

금융자산 5~ 10억을 보유한 사람

부동산 자산 비중이 70%정도

똑같이 사업소득이 가장 중요하다고 함

이상적인 자산 포트폴리오는 금융자산 : 부동산 자산 : 기타자산 = 4 : 5 : 1

 

 

총평

부자가 되려면 부자를 먼저 정의 해야한다. 그리고 앞서 부자가 된 사람들이 어떻게 부자가 되었는지 살펴봐야 한다. 덕분에 내가 생각하는 부자의 목표치와 어떤 것들을 중요시 여겨야 되는지 알게되었음.

 

2021 한국 부자보고서_F.pdf
5.01MB
반응형
블로그의 프로필 사진

블로그의 정보

Lyva의 인생기록소

Karice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