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yva의 인생기록소

9일차. 색의 속성과 온도 이해하기

by Karice
반응형

정리

색의 구분

구분 1. 디지털용 RGB & 인쇄용 CMYK

색은 디지털용인지 인쇄용인지에 따라 색 설정을 다르게 해야한다. 빛으로 내는 색과 물감으로 내는 색의 표현범위가 달라서 이다.

구분 2. 색감의 유무 : 유채색 & 무채색

 

색의 속성

1. 색상

색의 차이를 뜻함 ex) 빨강 파랑

  • 유사색 : 색상환에서 바로 옆에 있는 색
    • 조화로워 쉽게 배색할 수 있습니다. 실패 확률이 적습니다.
  • 보색 : 색상환에서 반대편에 있는 색
    • 색상 차이가 크기 때문에 강렬한 배색을 할 수 있습니다.
  • 반대색 : 색상환에서 보색 옆에 있는 색
    • 보색보다는 비교적 조화롭고 세련된 느낌을 연출할 수 있습니다.

※ 배색 : 색의 조합

 

2. 채도

색의 선명도를 뜻함

채도가 높을 수록 땡해지고, 형광 느낌

채도가 낮을 수록 탁해지고, 무채색에 가까워짐

오른쪽으로 갈수록 채도 높음

 

 

3. 명도

색의 밝기를 뜻함

명도가 높을 수록 흰색에 가까워지면서 가벼워짐

명도가 낮을 수록 검정색에 가까워지면서 무거워짐

오른쪽으로 갈수록 명도가 높음

색의 온도

1. 난색 = 빨강, 노랑 계열

  • 태양이나 불을 연상시키는 뜨거운 색
  • 마음을 고양/흥분시킴
  • 식욕을 촉진함

 

2. 한색 = 파랑 계열

  • 물이나 얼음을 연상시키는 차가운 색
  • 마음을 진정시킴
  • 식욕을 감퇴시킴

 

3. 중성색 = 초록, 보라 계열

  • 온도가 확실하게 느껴지지 않는 중간 색
  • 어떤 색과 조합하느냐에 따라 인상이 달라짐

 

4. 무채색 = 흑, 백, 회색 계열

  • 어떤 색과도 잘 어울리는 만능 색
  • 냉정하고 스타일리시한 인상을 줌

 

실습 & 총평

채도

0123
채도가 낮을 수록 탁하고 어두운 느낌

명도

0123
명도가 낮아질 수록 무겁고 어두운 느낌

 

온도

0123
온도 별로 느낌이 많이 달라짐

 

&

 

색의 채도, 명도, 무채색 등에 대한 단어들의 뜻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어떻게 색을 조합해야 자연스럽고, 어떤 느낌을 줄 수 있는지 알게 된 것 같아서 너무 좋았다. 어렵지 않고 실습과 함께 공부하니까 지식이 확 늘어나는 느낌이다.

그리고 인쇄용 색상과 디지털 색상이 다른건 살면서 처음알았다 😋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Lyva의 인생기록소

Karice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