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yva의 인생기록소

20.03.21 금융위기때 효과 본 '통화스왑' 이번엔 방역,실물 회복이 변수 (매일 경제 신문 스크랩)

by Karice
반응형

한줄 요약

금융위기때 효과가 좋았던 통화스왑 600억 달러, 주식시장 회복 할 수 있을까?

 

모르는 용어

통화스왑 :

서로의 나라끼리 서로의 원화를 바꾸는 것. 이번에는 한국과 미국이 서로 600억 달러를 스왑했다.

 

백웨데이션 :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보다 낮은 현상을 말하는 것.

질문

선물가격이 현물가격보다 낮다는 말이 어떤 의미일까? 

- 선물의 정의 부터 알아보자. --> 과자를 1000원에 산 상인이 있습니다. 은행의 이자가 10%라고 생각하겠습니다. 한달후에 배추를 미리 사고 지금 돈을 지불하겠다고하는 사람이 오면 얼마에 팔아야할까요? 최소 1100원입니다. 왜냐하면 이것보다 적게 받으면 그냥 은행에 돈을 넣어두는 것이 더 돈을 벌수 있기 때문이죠. 이떄의 1100원이 바로 "선물가격"입니다. 현물가격은 현재의 가치 "1000원"을 뜻하죠. 보통이라면 이자때문에 선물가격이 현물가격보다 높은 것이 정상입니다. 하지만 그 반대의 상황이 나타나는 경기불황이나 안전자산의 비율이 올라갈때 나타나는 현상이 백웨데이션 입니다.

 

통화스왑을 함으로써 이익은 무엇일까?

우리나라 : 외환이 늘어남으로써 좀 더 안정성이 생기고 외환시장의 안정화를 노릴수 있다.

미국 : 돈을 풀면서 달러환율을 좀 더 낮출 수 있다.

 

자세한 내용 : http://crs7171.blog.me/221864227867

불러오는 중입니다...

 

총평 

정부가 계속해서 시장을 부양하려고 노력을 하고 있지만 본문의 내용에서도 적혀있듯이 추세반전을 기대하기 힘들 것같다. 아직은 관망하는 시기인 것같고 거듭 느끼지만 결국 백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PS. 다음부터는 지수관련된 기사를 스크랩하지 않겠습니다. 어짜피 공포나 희망을 심어줄 뿐 매일 어떤 정책으로 어떤 효과를 봤는지만 나와있어서 매일비슷비슷한 내용이 나오는 것같습니다. 부동산이나 다른 경제 분야를 공부해봐야 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Lyva의 인생기록소

Karice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