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yva의 인생기록소

20.03.24 韓銀이 돈찍어 회사채, CP 직매입 하라는데.. (매일 경제신문 스크랩)

by Karice
반응형

한줄 요약

한국은행이 경기부양을 위해 돈찍어서 회사채, CP를 매입해서 기업을 살리려는데 법적 근거 부족.

 

모르는 용어

환매조건부채권(RP) : 

금융기관이 일정 기간이 지난 다음, 확정 금리를 주고 재구매 조건으로 발행하는 채권을 뜻한다.

보통 한국은행이 시중 유동성 공급을 조절할때 사용한다.

채권을 매도 함으로 시중에 자금 유입을 한다.

 

공기업 특수채 :

특수채는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기관이 발행하는 채권으로, 주로 공기업이 발행하는 채권을 통칭합니다.
은행이 기업의 특수채를 사면 직접적으로 현금이 회사로 유입됨

 

기업어음(CP) : 

기업어음(Commercial Paper·CP)이란 기업이 단기간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융통어음'이다.

 

**특수채와의 차이점 : 기업어음은 만기 1년 미만의 단기자금 조달을 위한 것인 반면, 회사채는 일반적으로 3년 이상의 장기자금을 조달할 때 사용됩니다.

 

참고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2/11/15/2012111502842.html 

 

[경제기사야 놀~자] 기업어음은 회사채와 뭐가 다른가요?

사기성 CP 발행 혐의 LIG 오너 3부자 기소 방침 〈조선일보 10월 23일자 A10면〉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부장 윤석열)는 구자원(77) L..

biz.chosun.com

 

회사채 :

주식회사가 자금을 조달하기 위하여 회사가 일반공중으로부터 비교적 장기의 채권이라는 유가증권을 발행하여 부담하는 채무를 말한다. --> 결국 일반인에게 파는 특수채

 

 

질문

기축통화국도 아닌 한국은행이 무한 확장될 경우 어떤 부작용이 있을까?

--금융위기 이후 통화당국이 양적완화 등 비전통적 방식까지 동원해 경기부양에 힘쓰는 것이 세계적 추세이다. 발권력 동원의 대표적 부작용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다.

 

직접매입과 간접매입의 차이는 무엇일까?

-- 결국 돈이 어떻게 유입되냐의 차이 인 것 같음

 

총평 

 

결국 한국은 한은을 통해 기업을 먼저 살리려고 하는 것같다. 저번의 스크랩에서 알게되었듯이 미국과 비슷한 경로를 따라 갈 것같다. 하지만 또다른 문제는 직접매입인가 간접매입인가의 문제인 것 같다. 사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법에 신경쓰지 않고 직접매입하는 방식이 더 좋긴한데 어떻게 될지 잘 모르겠다. 명분은 충분하고, 시간도 없는데 무작정 돈을 찍어 낼 수도 없고...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결국 한국은행이 기업들을 선별해서 빠르게 직접매입을 선택할 것같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Lyva의 인생기록소

Karice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