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17 韓銀, 금리 0.5%P 인하... 첫 제로금리 시대 [매일 경제신문 스크랩]
by Karice한줄 요약
한국은행이 미국을 따라 금리를 0.5%P 인하하고 전세계의 나라들이 돈을 풀기 시작!
모르는 용어
1.금통위 :
금융통화위원회는 한국은행의 통화신용정책에 관한 주요 사항을 심의·의결하는 정책결정기구로서 한국은행 총재 및 부총재를 포함하여 총 7인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2.유동성 :
유동성(Market Liquidity)는 경제학 개념으로 자산을 현금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낸다.
화폐로 대표되는 금융 자산은 유동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경제학에서 유동성과 환율을 가리킨다. 여기에서 자산을 현금화하는 데 걸리는 시간과 노력에 생기는 차이를 ‘유동성 프리미엄’라고 한다. 증권화는 부동산 등의 유동성을 어느 정도 향상시키는 기법 중 하나이다.
3.FOMC :
연방공개시장위원회(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FOMC)는 12명으로 구성되는 연방준비제도(FRB) 산하의 위원회이다. 연 8회의 정례회의를 갖고, 미국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질문
1. 일본은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대신 ETF매입한도를 늘렸는데 이 방법이 왜 돈 풀기 효과를 가져올까?
--ETF 매입 확대는 주가지수 하락을 저지하고 금융시장을 안정시키는 의도다. 국가에서 ETF를 매입함으로 시장으로 돈이 흘러가게 만들고 경제를 부양하려고하기 때문이다.
2. 추가 금리인하가 어떻게 가계부채와 집값을 다시 자극 할 수 있다는 것일까?
--금리가 낮은 상태에서는 시장의 자금이 부동산으로 몰릴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금리가 낮아지면 사람들은 대출을 내서라도 집을 사려고 하고 그렇게 수요가 늘면 집값이 올라가기 때문이다. 몇달전만 해도 금리를 동결하면서 집값 상승을 막으려고 했지만 그것도 이제는 힘들어 보인다.
총평
코로나의 여파로 생각보다 더 오랜 기간동안 시장이 불안정해질 것같다. 역사적으로도 몇번 안나온 사건도 일어나고 힘든시기인 것같다. 국가들이 돈을 풀면서 시장의 안정시키려고 하지만 아직 완충제 역할밖에 못하고 있는게 아쉽다. 바닥은 어딜까..
'경제 > 경제신문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3.21 금융위기때 효과 본 '통화스왑' 이번엔 방역,실물 회복이 변수 (매일 경제 신문 스크랩) (0) | 2020.03.21 |
---|---|
20.03.20 전세계가 달러만 찾는다.. "Cash is King" (매일 경제 신문 스크랩) (0) | 2020.03.20 |
20.03.19 경총 "법인세 인하 필요" "소상공인 긴급생계비 절실" (매일 경제신문 읽기) (0) | 2020.03.19 |
20.03.18 트럼프 한마디에 연일 롤러코스터... 월가 "증시개장이 두렵다" [매일 경제신문 스크랩] (0) | 2020.03.18 |
20.03.16 미국시장 어디까지 바닥일까 (매일 경제신문 스크랩) (0) | 2020.03.16 |
블로그의 정보
Lyva의 인생기록소
Karice